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마트, 작년 영업이익 471억 원 흑자 전환… 실적 개선 요인은?

by essuefast 2025. 2. 11.

기업 흑자 전환 사진

이마트가 2023년 영업이익 471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고물가와 소비 둔화 속에서도 실적을 개선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분석해본다.

1. 이마트, 471억 원 영업이익 흑자 전환… 주요 실적 요약

이마트가 2023년 연간 실적을 발표한 결과, 영업이익 471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로 돌아섰다. 이는 2022년 영업적자 1,230억 원에서 크게 개선된 수치로, 어려운 소비 환경 속에서도 긍정적인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매출액: 17조 8,167억 원 (전년 대비 1.8% 증가)
  • 영업이익: 471억 원 (전년 대비 흑자 전환)
  • 순이익: -3,296억 원 (적자 지속)

이번 실적 발표에서 눈에 띄는 점은 매출이 소폭 증가한 가운데,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되었다는 점이다. 다만, 순이익은 여전히 적자를 기록해 완전한 실적 회복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

이마트가 영업이익을 흑자로 전환할 수 있었던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① 비용 절감 및 효율성 강화

이마트는 2023년 한 해 동안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개선에 집중했다. 물류 시스템 최적화, 점포 운영 비용 절감, 인건비 효율화 등의 전략을 통해 지출을 최소화했다.

② 할인점 부문 수익성 회복

이마트의 핵심 사업인 할인점 부문에서 수익성이 회복되었다. PB(자체 브랜드) 상품 판매 증가소비자 맞춤형 할인 행사가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③ 트레이더스와 이마트24의 성장

창고형 할인점 이마트 트레이더스와 편의점 이마트24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트레이더스는 대형마트 대비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보이며 수익성을 높였다.

④ 온라인 사업 부문의 성장

이마트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과 연계한 옴니채널 전략을 강화했다. SSG닷컴과의 시너지 효과가 매출 증가로 이어졌으며, 온라인 매출 확대가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3. 여전히 남아 있는 과제

이마트가 영업이익을 흑자로 돌리는 데 성공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① 순이익 적자 지속

이마트는 영업이익 개선에도 불구하고 순이익 적자가 3,296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비핵심 자산 매각, 투자 손실 등이 반영된 결과로, 장기적인 재무 건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② 대형마트 업계 경쟁 심화

온라인 쇼핑 확산과 쿠팡, 마켓컬리 같은 e커머스 업체들의 성장으로 대형마트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마트는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와 가격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③ 소비 둔화에 따른 매출 변동성

고물가와 경기 둔화로 인해 소비자들의 지출이 줄어들고 있다. 이마트는 경기 변동에 영향을 덜 받는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4. 향후 전망: 이마트의 전략과 도전 과제

이마트는 2024년에도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강화를 목표로 여러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① 온라인 시장 확대

이마트는 SSG닷컴과의 연계를 더욱 강화해 온라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빠른 배송 서비스와 차별화된 온라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② PB 상품 강화

PB(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을 확대해 원가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가성비 높은 상품군을 확대해 소비자 유입을 늘리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③ 점포 운영 최적화

비효율적인 점포를 구조조정하고, 매장 내 경험형 콘텐츠를 강화해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④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

이마트는 동남아 시장 등 해외 진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5. 결론: 흑자 전환 성공, 그러나 과제는 남아

이마트는 2023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 그러나 순이익 적자 지속, 대형마트 업계의 경쟁 심화, 소비 둔화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앞으로 이마트가 온라인 시장 확대, PB 상품 강화, 점포 운영 최적화 등의 전략을 통해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